- 비즈니스
- 라이프스타일
- study report
커뮤니티를 원하는 기업과 협업을 이끌어내는 법
이 스토리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미래가 되다> 의 8화입니다
Overview
1. 기술이 발달하고 저성장이 고착화될수록 커뮤니티에 대한 추구는 높아질 겁니다.
- 무엇 하나 확실함이 없는 시대에, 확실한 자기 정체성에 대한 표현 욕구가 강해졌습니다.
-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혼합된 커뮤니티는 훌륭한 사회적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의 흐름에 올라타기보다 오프라인에 주목했습니다.
- 디지털 시대, 오히려 차별화된 콘텐츠는 ‘오프라인’ 경험에 있습니다.
- 좋은 공간이 모임의 경험을 높입니다.
3. 요즘 브랜드는 매력적인 커뮤니티와의 협업에 관심이 있습니다.
- 당장 제품을 팔기 위한 마케팅만이 브랜드가 원하는 경험은 아닙니다.
- 소수의 인원이 모여 철학이 분명한 브랜드에 대해 이야기하는 커뮤니티는 반응이 뜨겁습니다.
4. 지금 시대의 커뮤니티는 경험 중심의 입체적 기획과 협업이 필수입니다.
- 밀레니얼 세대는 새로운 경험과 영감에 대한 욕구가 강합니다.
- 다른 비즈니스와의 협업이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높입니다.
5. 브랜드는 커뮤니티에 새로운 가능성을 더하는 요소입니다.
-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는 브랜드가 높은 지지를 받습니다.
- 밀레니얼 세대의 철학을 공유하는 브랜드에게 미래가 있습니다.
6. 공간, 콘셉트, 콜라보레이션, 이 세 가지에 주목합니다.
- 커뮤니티 자체가 비즈니스가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공간, 콘셉트,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풀어가려 합니다.
- 공간 활용을 다각화하고, 명확한 콘셉트를 세워 감도 높은 브랜드와의 협업을 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0. 안녕하세요, 공간과 책을 중심으로 하는 컬처,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커뮤니티, 심야책방과 심야살롱을 운영하는 박지호입니다.
저는 17년 동안 의 에디터로, 그 가운데 7년을 편집장으로 일했습니다. 편집장으로 활동하면서 책과 음악, 브랜드 등을 매개로 사람들이 모이는 심야책방과 심야살롱을 5년 정도 운영했어요. 얼마 전 퇴사를 하고 본격적으로 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사실 창업자의 입장이지만 커뮤니티가 비즈니스가 될 수 있을지는 반신반의합니다. 트레바리를 포함해 다양한 커뮤니티가 늘고 있기는 하지만, 수익 구조를 창출하는 일은 모든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관건이란 생각이 들어요.
커뮤니티를 비즈니스라고 규정했을 때 가장 대두되는 문제는 멤버십입니다. 심야책방은 무료로 진행되고 있어요. 작년부터 시작한 심야살
지금 폴인멤버십 가입하면
일주일 3,700원에 모든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
디지털 콘텐츠
무제한 열람 -
온라인 세미나
월 2회 무료 -
각종 온/오프라인 행사
상시 할인 -
폴인페이퍼
월 1회 배송
목차
-
1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미래가 되다
무료
스크랩 -
2화
지금 우리가 '커뮤니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3화
[Q&A]살아남는 커뮤니티의 조건은?
무료
스크랩 -
4화
'열정에 기름붓기'는 왜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뛰어들었나?
-
5화
[Q&A]'크리에이터 클럽'이 커뮤니티 문화를 유지하는 법
-
6화
무엇이 '문토'를 주목받는 커뮤니티로 만들었나?
-
7화
[Q&A]'문토'가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방법
-
8화
커뮤니티를 원하는 기업과 협업을 이끌어내는 법
현재글 -
9화
[Q&A] 매거진 편집장이 커뮤니티를 운영한다는 것
-
10화
에어비앤비는 어떻게 전 세계인의 '소속감'을 창조하나?
-
11화
[Q&A]에어비앤비의 '불가능한 꿈'은 어떻게 실현됐나?
-
12화
위워크는 어떻게 비즈니스를 커뮤니티와 연결했나?
-
13화
[Q&A] 위워크가 생각하는 커뮤니티란?
폴인멤버십 회원 이OO님 폴인은 저에게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는 무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