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스타트업과 완성차 업체는 현재 수준에서 서로 집중할 수 있는 포지션이 다릅니다. 스타트업은 빠른 제품의 시장검증을 해야 한다는 욕구와 함께 기술적인 한계로 규모가 있는 모빌리티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한 편으로 완성차 업체의 경우 품질 경영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금이라도 흠결이 있는 제품은 생산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따라서 모빌리티 스타트업은 전동 스쿠터와 같은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집중하고 있으며, 반대로 완성차 업체는 규모 있는 형태의 신규차량을 제작하고자 노력하는 것입니다. 이 장에서는 자율주행에 기반한 모빌리티 하드웨어가 현재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 지 점검한 후, 완성차 업체인 현대자동차가 어떠한 변화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시화되는 모빌리티 신사업
최근 2017년부터 경기도 판교시에 자율주행 셔틀이 시범으로 운영 중입니다. 자율주행 셔틀은 유럽이 먼저 발빠르게 움직였습니다. Navya, Easymile, Olli 등 다양한 도시에서 자율주행 셔틀이 개발되어 시범운행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업체들은 유럽의 스타트업 위주로 공공교통에 적극적으로 셔틀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의 대표적인 공동연구 및 실험 프로젝트인 시티모빌(CityMobil2)가 자율주행 셔틀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유럽 주요 도시의 시스템을 통합하고 연구개발을 함께 진행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의 경우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넘어 일반 도로에서 운전할 수 있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모빌리티는 단순한 사람 간의 연결에서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된 모빌리티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MaaS)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스타트업 Nuro는 구글 웨이모 출신 2명이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상품 배송용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뉴로는 지역 온라인 유통업체나 물류업체를 대상으로 제품을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존 서비스에 이동성을 결합한 신규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도어대시(DoorDash)나 키위(Kiwi)같은 자율주행 배송로봇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키위의 스콧은 소형 냉장고 수준의 크기로 인간이 닿기 어려운 지역까지 쉽게 배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캠퍼스 내부 음식 배달과 같이 작은 크기의 물품을 운송하기에 용이합니다. 키위봇
-
모빌리티의 미래 : 한국의 모빌리티 강자들
박태희 외 6명매주 수
모빌리티의 미래 : 한국의 모빌리티 강자들
-
intro free
11분
UBER MOMENT, 지금 세상은 모빌리티가 바꾼다
박태희 -
1화 free
12분
모빌리티의 미래를 움직일 10가지 키워드
박태희 -
2화
12분
세계 모빌리티 강자들이 바라보는 곳
박태희 외 1명 -
3화
10분
구글 웨이모가 쥔 세 가지 비즈니스 카드
박태희 외 1명 -
4화
8분
모빌리티의 어제 : 태초에 이동이 있었다
이재호 외 1명 -
5화
12분
모빌리티의 오늘 : 시장의 강자가 바뀌고 있다
박태희 외 1명 -
6화
12분
모빌리티의 내일 : 미래 모빌리티의 세 가지 숙제
박태희 외 1명 -
7화
12분
벤츠가 내연기관차를 버린 시대... 현대차가 내다보는 다섯가지 메가 트렌드
박태희 외 1명 -
8화
11분
현대자동차, 왜 전동 킥보드 플랫폼을 시작하려 할까
홍기범 외 1명 -
9화
20분
통신사가 모빌리티 사업에 뛰어든 진짜 이유
장유성 -
10화
15분
비즈니스 기회는 상상력에서 온다
장유성 -
11화
26분
모빌리티 패러다임 시프트를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박재욱 -
12화
16분
대규모 적자에서 시장이 우버를 선택한 이유
박재욱 -
13화
20분
한국의 규제가 우버와 그랩을 돕게 될지 모릅니다
구태언 -
14화
16분
규제를 혁신하려면, 개인이 국가 의존증을 버려야 합니다
구태언